시리즈 - [KlosedStack #1] Intro: https://blog.isu.kim/14 - [KlosedStack #2] Vagrant + Libvirt: https://blog.isu.kim/15 - [KlosedStack #3] Vagrant + OVS https://blog.isu.kim/16 배경 지난주에 여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서버 셋업으로 OVS + Vagrant를 구성했었다. 이후 목요일에 N 교수님께 해당 내용을 랩미팅 때 발표했었다. 그리고 돌아온 피드백. 어 좋은데, 단일 인터페이스로 안될까? 그리고 VM에서 eth0 그리고 eth1 쓰는거 말고 인터페이스 하나로 하게 하자, MASQUERADE 하면 될꺼야! 라는 피드백을 받았다. 사실 MASQUERADE 생각을 했었으나,..
배경 N 교수님 연구실 말고, Y 교수님 연구실에서는 Ceph를 가지고 뭔가를 한다. 아직 Ceph에 대해 많이 알지는 못한다. 하지만 그냥 이런게 있다 정도는 안다. 이번에 KlosedStack을 구성하며, 새로 도입해야하는 요소는 바로 Ceph이다. https://blog.isu.kim/16 [KlosedStack #3] Vagrant + OVS 시리즈 - [KlosedStack #1] Intro: https://blog.isu.kim/14 - [KlosedStack #2] Vagrant + Libvirt: https://blog.isu.kim/15 배경 지난 시간에는, KlosedStack에서 사용할 VM을 Vagrant로 Libvirt를 사용해 생성했다. 이제는 각 VM끼리 연 blog.isu.k..
시리즈 - [KlosedStack #1] Intro: https://blog.isu.kim/14 - [KlosedStack #2] Vagrant + Libvirt: https://blog.isu.kim/15 배경 지난 시간에는, KlosedStack에서 사용할 VM을 Vagrant로 Libvirt를 사용해 생성했다. 이제는 각 VM끼리 연결을 해줘야한다. 연결에는 OpenvSwitch를 사용할 예정이다. 토폴로지 살짝 복잡해보이지만 어렵지 않다. 간단하게 생각을 하면 다음의 구조와 같다. 각 VM의 경우 내부 eth1번에 호스트 머신의 macvtap 인터페이스를 붙인다. 또한 VM 내부의 eth1에 IP를 10.0.35.0/24 대역으로 준다. 호스트 A의 VM은 10.0.35.211, 호스트 B의 VM..